웹표준이란?
웹표준이란,
-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이 담겨있다.- 어떤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웹페이지가 동일하게 보이고 정상 작동해야함을 의미
- 표준 스펙을 잘 지키는 것 뿐만 아니라 구조적 마크업(XHTML)과 표현 및 레이아웃(CSS) 및 사용자 행위 제어(DOMScripting)를 잘 분리하는 고급 홈페이지 구축 방식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가 웹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HTML은 접근성과 시멘틱 HTML의 가이드 라인을 충족해야함
웹 표준이 중시하는 내용
- HTML, XHTML, SVG, XFORMS와 같은 MARKUP 언어의 W3C 권고
- 자바스크립트라고 불리는 ECMA 스크립트라는 Ecma 인터네셔널 표준
- 스타일시트, CSS의 W3C 권고
- 문서 객체 모델의 W3C 권고
- 웹 접근성은 일반적으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웹표준을 제정 발전을 위해서 1994년 창립된 인터넷 관련 국제컨소시엄)의 Web Accessibility Initiative가 출판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에 기반을 두고 있음
더 넓은 의미의 웹 표준을 말할 때 중시하는 내용
-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가 출판한 RFC(Request for Comments) 문서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가 출판한 인터넷 표준(STD) 문서
- Ecma 인터네셔널(이전 이름은 ECMA)이 출판한 표준들
-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출판한 표준들
-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IANA)이 운영하는 이름과 번호 레지스트리
- 유니코드 컨소시엄이 출판한 유니코드 표준과 다양한 유니코드 기술 보고서(UTR)
※ 웹 표준의 장점
- 개발 및 운영의 효율성 제고, 소스의 통일화로 수정 및 운영관리가 용이함
- 다양한 브라우저, 휴대폰 PDA,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서도 대응이 가능하므로 접근성이 향상되고, 장애인,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층도 확대 가능
-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성된 웹 문서는 코드의 양이 줄어 파일의 크기가 줄고 서버부담의 감소로 이어짐
- CSS와 HTML이 분리되어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시간이 단축되고,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속도가 향상됨
-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컨텐츠가 적절하게 표시되고 호환성과 운용성이 확보됨
- 스크린리더기 등 보조공학 기기 사용자들이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움
- 검색봇을 통한 효율적 노출과 같은 검색엔진 최적화가 가능
웹 표준의 기술
-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CSS (Cascading Style Sheets)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DOM (Document Object Model)
- ECMAScript : ECMA international의 ECMA-262 기술 명세에 정의된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가이드라인 참조
Standards - W3C
W3C standards define an Open Web Platform for application development that has the unprecedented potential to enable developers to build rich interactive experiences, powered by vast data stores, that are available on any device. Although the boundaries of
www.w3.org
웹 접근성이란?
-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즉, 어떠한 사용자(일반인, 장애인, 고령자 등)가 어떠한 환경(브라우저, 운영체제, 디바이스의 환경이나 사양 등)에서도 어려움 없이 접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접근성이라고 함 - 신체적 차이나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원활하게 웹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
- 시각장애인의 경우 화면을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스크린 리더'라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하여 음성으로 웹페이지에 담긴 정보를 이해함
하지만 스크린 리더기는 웹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지 못함
따라서 이미지 대신 소스 코드에 내용을 그대로 담는 것이 권장되며, 부득이하게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이미지가 어떤 내용인지 설명을 추가해야 함
- 시각장애인의 경우 화면을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스크린 리더'라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설치하여 음성으로 웹페이지에 담긴 정보를 이해함
'📁 Language >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모바일 화면에서 주소 툴바로 인해 높이 계산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vh, svh, lvh, dvh) (0) | 2024.09.19 |
---|---|
[css] position fixed 스크롤 떨림현상 (0) | 2021.11.26 |
[css] 외형(appearance)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