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nguage/🛢️ SQL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언어 데이터를 조작하는 쿼리 DML에는 4가지가 있다. 1. SELECT 2. INSERT 3. UPDATE 4. DELETE 📁 1. SELECT : 조회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SELECT 컬럼명,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ORDER BY 조건식] -- [] 안의 내용은 생략 가능함 📁 2. INSERT : 추가 코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1) 원하는 컬럼만 골라서 값을 저장할 때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 ...) VALUES (값, ...) (2) 모든 컬럼에 값을 넣을 때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값, ...) --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L_ME..
1.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 테이블 조작 또는 제어 관련 쿼리문 2.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언어 데이터를 조작하는 쿼리문 3. 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 언어 (권한) 4.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트랜잭션 제어 언어
연산자 연산자, 피연산자 자리에 어떤 타입의 값이 오는지, 연산자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연산의 결과가 어떤 타입의 값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연산자에는 5가지 종류가 있다. 1. 연결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3. 관계 연산자 4. SQL 연산자 5. 논리 연산자 📁 1. 연결 연산자 ( || ) A || B : A 와 B 를 연결해준다. 숫자, 날짜, 문자 타입이 피연산자로 올 수 있으며 앞에 있는 값과 뒤에 있는 값을 연결한다. 연결의 결과는 문자타입이다. (1) 정수 || 정수 SELECT 10 || 20 AS RES FROM DUAL; -- 정수 연결 정수 -> 문자 ※ 특정 실행 결과를 보고 싶을 때엔 "DUAL" 을 작성하여 확인한다 (오라클에서 지원하는 기능) (정수) || (정수) 의 결..
SQL의 주요 특징 한 줄씩 실행되는 인터프리터 언어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일반적으로 오라클은 대문자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SELECT * FROM EMPLOYEES; 일반적인 SQL 사용법(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여러 줄에 걸쳐서 작성이 가능하다. [ ; ] 을 사용하여 명령을 마무리한다. 들여쓰기를 활용한다. SELECT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SELECT 문법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 해당 테이블에서 특정 컬럼을 선택해서 조회함 -- SELECT를 사용하여 EMPLOYEES 테이블의 -- FIRST_NAME 컬럼과 LAST_NAME 컬럼을 선택하여 조회해보자. SELECT FIRST_NAME, LAST_NAME FROM EMPLOYEES; ..
염비
'📁 Language/🛢️ SQL'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